본문 바로가기
아프면 운동 못한다 : 건강 이야기

재활과 선수트레이너

by Sheep coach 2020. 3. 22.

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운동이야기 쉽코치입니다.

오늘은 "재활"과 "선수트레이너"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재활'이라는 말은 어딘가를 다치거나 운동을 즐기시는 분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법한 말입니다. 
 
 재활 (rehabilitation) : habilitare이라는 적합시키다 라는 라틴어에 re가 붙어 말 그대로 '다시 적합하게 만들다'가 재활의 뜻 입니다. 선수에게 있어서 재활이란 스포츠 상황, 즉 경기에 다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재활이 될 것이고 일반인의 경우에는 다쳐서 손상을 입은 부위를 다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수준으로 적합하게 만드는 것이 재활이 되겠습니다!
 
 선수 트레이너는 선수의 재활을 담당하기 위하여 왜, 어떻게 다쳤는지, 다친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는 어떻게 되는지, 상해의 정도는 어느 정도인지 그 상해를 치유하기 위한 단계는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선수가 상해를 입었을 때 그 선수의 재활 단계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모든 사람들은 재활팀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너, 의사, 코치 심지어 가족까지도 재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두가 재활팀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중 가장 선수재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바로 선수 트레이너입니다. 그러므로 선수 트레이너는 책임이 막중하겠죠?
 
 2004년 완성된 국제 선수트레이너 자격위원회의 정의를 바탕으로 선수 트레이너의 역할을 보자면 크게 6가지가 있습니다!
 1. 운동상해 예방 
2. 상해에 대한 인지, 평가, 사정 
3. 상해의 즉각적인 조치 

 4. 상해치유관리 
5. 전문적인 재활 단계와 책임성 
6. 운동 상해의 치료, 재활, 재조정 

 팀의 분위기에 따라 여러 역할을 더 부담하기도 하지만 주로 선수 트레이너는 선수의 상해와 건강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수트레이너의 역할에 맞게 제가 생각하는 선수 트레이너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스포츠 의학적인 지식에 해박해야 합니다. 즉 해부학, 생리학, 영양학 등 선수의 건강, 경기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공 지식이 우선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선수에게 항상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선수의 몸을 내 몸처럼 여기지 않는다면 선수의 몸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세 번째로 선수 트레이너는 선수와 신뢰를 쌓고 의사소통을 지속해야 합니다. 자신의 몸을 가장 잘 아는 것은 본인이기 때문에 선 슈트 레어는 수시로 선수와 대화를 통해 상태를 체크하고 그 외에도 선수의 생활패턴이나 환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본인 스스로의 건강을 가장 잘 유지해야 합니다. 가장 당연한 이야기죠? 내가 아픈데 누구를 도와줄 수 있을까요? 팀에 소속된 트레이너를 예로 들자면 선수 트레이너는 늘 선수보다 일찍 일어나 선수보다 늦게 잠들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레이너는 본인의 건강을 잘 유지해야 선수들도 미안한 마음 없이 본인의 몸을 챙길 수 있겠죠?


 
이상으로 오늘은 재활과 선수트레이너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